
🧩git cherry-pick 다른 브랜치에서 특정 커밋만을 현재 브랜치로 가져오는 Git 명령어이다 커밋을 다른브랜치에 잘못 커밋하거나,필요없는 커밋이 생기거나,다른사람의 커밋 중 일부를 가져와야 하는 경우 사용한다 하나 적용시 git cherry-pick 여러개 적용시에는 나란이 열거해 주면된다 git cherry-pick ..을 이용해 hash1 hash3사이의 모든커밋을 cherry-pick할수 있다 =>hash1처음 커밋이고 hash3이후커밋이면 hash1 cherry-pick할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범위를 hash1^..hash3와 같이 지정해주어야 한다 git cherry-pick 만약 c1원의 버전만 c2와 합치고 싶을때 c1의 이전 버전인 b1과 비교하여 변화된 내용만 사용하고 ..

내코드와 원격저장소가 다른데 git pull Already up to date가 뜨는 경우 =>원격 저장소에 최신 코드가 아직 반영되지 않은 것 이런일이 흔히? 일어나서 정보가 많았는데 git feth all git reset --hard origin/main 입력하라고 했고 생각보다 손이 먼저 나갔는데 뭔가 이상했다 로컬에서 했던 작업이 사라져버렸다 바보다 reset 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ㅎ 📌git reset --hard origin/main 명령어는 로컬 브랜치를 origin/main 브랜치로 강제로 이동시키고, 작업 트리의 변경 사항을 모두 지우기 때문에 이전 작업 내역이 모두 삭제된다고 한다 만약에 로컬 작업을 유지하면서 원격 저장소의 최신 변경 사항을 반영하고 싶다면? git fetch..

🧩Git -분산 버전관리 시스템으로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척하고 여러명의 사용자들 간에 파일에 대한 작업을 조율하는데 사용한다 =>여러명의 개발자가 하나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할 때 소스코드 관리 하는데 주로사용한다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은 곳에서도 개발을 진행 할 수 있으며 분산 버전관리이기 때문에 중앙 저장소가 삭제 되어도 원상 복구가 가능하다 => 각각의 Branch 에서 개발한 합치는 merge 방식을 통한 병렬 개발 가능 🧩Github -깃을 사용하는 츠로젝트를 지원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 Git 설치 Git을 사용하려면 우선 Git을 설치해야 합니다. 다음 링크에서 Git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Windows: https://git-scm.com/download/w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