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형->숫자형 let 변수 = parseInt(문자); //문자를 정수형 숫자로 변환해줌 let 변수 = parseFloat(문자); //문자를 실수형 숫자로 변환해줌 let 변수 = Nember(문자); //문자를 정수&실수형 숫자로 변환해줌 숫자형->문자형 let변수 = String(숫자); //숫자를 문자로 변환해줌 let 변수 = 숫자.toString(진법); //숫자를 문자로 변환해줌 - 변환하면서 진법을 바꿀 수 있음 let 변수 = 숫자.toFixed(소수자리수); //숫자를 문자로 변환해줌 - 실수형의 소수점 자리를 지정할 수 있음 let 변수 = 숫자 + "문자열"; //숫자와 문자열을 한 문자열로 더해줌
1.함수 선언식 작은 기능의 단위 기본적으로 함수는 undefined를 반환합니다. 다른 값을 반환하기 위해서는, 함수는 반환값을 지정하는 return 문이 있어야한다 반드시 함수 이름이 명시되어 있어야 한다. 함수 이름으로 함수를 호출한다 함수 이름이 hoisting 되어 한 파일안 어느위치에서든 접근 가능하다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2.함수 표현식 function을 별도의 변수에 할당하는 것이다. 함수를 다른 변수에 값으로써 '할당'한 것이 곧 함수 표현식이다. 호이스팅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함수를 생성(초기화) 한 코드 아래에서만 호출 가능 const add = function(a, b) { return a + b; } 3.화살표 함수 function 키..
typeof 란 피연산자의 평가 전 자료형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반환 typeof 연산자는 피연산자 앞에 위치한다. 데이터 타입이 수(number) 데이터 타입이 문자열(string) 데이터 타입이 불리언(Boolean) 데이터 타입이 함수, 배열등 객체(object) 데이터 타입이 길이에 상관없는 정수(BigInt) 등이 있다 typeof operand =피연산자 //괄호 없어도 가능 typeof (operand =피연산자) 예제) typeof true; // "boolean" typeof 15; // "number" typeof "문자" // "string" typeof undefined; // "undefined" typeof Symbol(); // "symbol" typeof 12n; // "big..